서브배경
서브이미지

사랑과 정성으로 키운 올리브나무는

수천년을 산다고 합니다. 당신을 향한 우리의 바람입니다.

진료시간안내

  • 월금 9시30분 - 18시30분
  • 수요일 9시30분 - 17시
  • 화 목 야간 9시30분 - 20시
  • 점심시간 13시-14시
  • 토요일 9시30분 - 14시

토요일 점심시간없음/ 일요일, 공휴일 휴무

041-548-2275


임플란트

홈으로_ 치료소개_ 임플란트

치아는 엄마 뱃속에서부터 이미 형성되기 시작합니다. 임신 6주부터 치아의 싹이 자라기 시작해서 유치(젖니)의 경우 임신 3개월경에는 유전치(앞니)가, 임신 4개월경에는 유구치(어금니)가 만들어지기 시작하며, 영구치의 경우 출생 전후에 만들어지기 시작합니다.
생후 6~7개월이 되면 드디어 아래 앞니부터 나며 2년 6개월 정도면 좌우 5개씩 10개, 위아래 합해서 모두 20개의 유치가 입안에 나게 되고 3년 정도면 유치 뿌리가 모두 완성되어 그 기능을 완전히 수행할 수 있게 됩니다.

치아는 어렸을 때 영구치로 한번 교환된 이후에는 치아를 상실하게 되더라도 더는 새로운 치아가 돋아나지 않습니다. 다행히 치과에서는 치료를 통해 상실된 치아나 그 주위 조직을 수복하여 씹는 기능 등을 회복시켜 줄 수 있는데 이러한 치료 방법 중 하나가 바로 ‘임플란트’ 입니다.
제3의 치아라고 불리는 임플란트는 상실된 치아를 수복하기 위해 금속 기둥을 잇몸뼈에 심는 인공치아 이식술입니다. 이는 건강한 인접 치아를 전혀 건드리지 않고 빠진 치아만을 수복하는 것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그러나 전체적인 치료 과정이 길고, 모든 경우에 성공하는 것은 아니므로 임플란트에 적절한 여건을 갖추고 있는지 충분한 상담과 검진이 필요합니다.

전체 임플란트(Dental implant)

전체 임플란트는 16~20개의 임플란트를 식립해야 하는 고난이도의 수술로, 숙련된 전문의의 스킬이 매우 중요합니다. 또한, 전체 임플란트는 환자의 구강상태를 자세히 분석할 수 있는 CT 촬영이 가능한 병원에서 시술받는 것이 좋습니다.

임플란트 진행 과정

  1. 임플란트는 인공 치근 부분을 턱 부분에 고정시키는 1차 수술과 잇몸 상부 구조물을 노출시키기 위한 2차 수술이 있습니다. 2차 수술 후 보철 즉 인공 치관을 씌우게 됩니다. 하지만 레이저 임플란트 시술 등으로 1회 수술로 해결되기도 합니다.
  2. 1차 수술은 치아가 빠진 자리에 잇몸을 절개하여 인공치아 뿌리, 즉 금속 기둥을 심고, 잇몸을 덮습니다. 이 인공치근이 턱뼈와의 결합이 이루어질 때까지 기다립니다. 아래턱은 3개월, 위턱은 약 6개월 정도 걸립니다.
  3. 2차 수술은 임플란트와 주위골이 잘 결합되었으면 2차 수술은 잇몸 속에 있는 임플란트에 기둥 부분을 세우기 위한 수술입니다. 이 기둥을 이용하여 보철물을 장착하게 됩니다.
  4. 보철물 완성은 2차 수술 후 본을 뜨는 과정 등을 거쳐 임플란트 치료가 끝나게 됩니다.

임플란트 후 주의사항

  • 수술 후 출혈이 일어나고 2~3일간 붓기가 있을 수 있으나 출혈이 심하면 즉시 병원에 방문합니다.
  • 딱딱한 음식이나 뜨거운 음식은 피해 주시고, 수술 반대 치아로 음식을 씹어주어야 합니다.
  • 임플란트 자체에는 충치가 생기지 않지만, 임플란트 부위와 잇몸 사이에 염증이 생길 수 있으므로 구강 위생 관리를 잘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흡연과 음주는 금해야 합니다.

임플란트 전 고려해야 할 사항

전신적 건강상태가 발치를 하는 데 지장이 없을 정도라면 16~18세 이후(성장이 멈춘 성인)는 나이와 관계없이 시술이 가능합니다. 즉, 임플란트를 수용할 수 있는 건강한 잇몸과 골조직을 가지고 구강위생을 철저히 관리할 수 있는 성인이면 됩니다.
단 만성질환, 당뇨병,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 정신질환을 가진 환자, 알코올 중독, 심한 흡연자 등은 이식대상자로 적합하지 못하므로 전문가와 미리 상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여자 환자 중 골다공증이 있거나 임신 중 일 때는 미리 상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모든 환자에게서 치아를 심을 수 있는 것은 아니고, 환자의 전신적인 상태나, 잇몸뼈의 높이와 밀도, 상대 치아간의 거리, 신경관과의 거리 및 상악동과의 거리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습니다.